Scientific Prose

$22.39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
SKU:
ESSA0893
UPC:
9791191114904
Condition:
New
Handling Time:
10 business days
Shipping:
Calculated at Checkout
Adding to cart… The item has been added
Essay [ Scientific Prose ]
✔️ Safely Packed
✔️ Tracking Number
✔️ 100% Original
 
Korean Title    과학산문
English Title    Scientific Prose
Type    Korean Essay
Release Date    2025-09-05
Page & Size    312p | 5.0 x 7.4 in



ISBN    9791191114904
Author(s)    Kim Sang-wook, Shim Chae-kyung
Publisher    Bokbokseoga Publishing
KJCstar ID    ESSA0893
This book is written in Korean.
Description

Physicist Kim Sang-wook and astronomer Shim Chae-kyung have published 『Scientific Prose』. The book refines and expands essays they serialized from fall 2024 to early 2025 on their paid email subscription service of the same name. In 『Scientific Prose』, Kim and Shim exchange letters addressed to each other and to their readers. Physics, which probes the origins of matter, and astronomy, which observes the vast universe—two disciplines rooted in somewhat different worlds—come together as they share reflections on everyday scenes and thoughts. These encounters, sometimes harmonious, sometimes clashing, create new narratives that traverse both science and life.

Is this book “science prose” or “prose about science”? Somewhere in between, the scientists near us occasionally write warmly but always with rigor, exchanging insights on ordinary life and extraordinary reflections. This book is not only a collection of letters between scientists, but also a chronicle of Kim Sang-wook and Shim Chae-kyung’s exploration of the world as human beings beyond the labels of physicist or astronomer—a record of a season we shared with them.

For most ordinary people, science might seem like a mysterious field, easy to misunderstand. You may want to understand it but feel intimidated by complex formulas and terminology. Yet, if we calmly lift our heads and observe the world, we realize that much of our daily life—from electricity to AI—originates in science. Now is the moment to take a step closer to science and reach out.

Scientific Prose contains no scientific theories. Instead, it is full of a scientific mindset. As the authors put it: “Scientific prose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explain science.” More than pouring out scientific knowledge, it is the scientific attitude discovered and reflected upon in ordinary scenes that helps us truly understand the essence of science. Join your neighbors on planet Earth, Kim Sang-wook and Shim Chae-kyung, and encounter science as an attitude in our everyday lives.

 

물리학자 김상욱과 천문학자 심채경이 『과학산문』을 출간했다. 동명의 유료 이메일 구독 서비스에 2024년 가을부터 2025년 연초까지 연재한 글을 다듬고 살을 붙였다. 『과학산문』에서 김상욱과 심채경은 서로와 독자를 수신인으로 편지를 주고받는다. 물질의 근원을 탐구하는 물리학과 거대한 우주를 관찰하는 천문학, 조금은 다른 세계에 기반을 둔 두 사람이 일상의 풍경과 사유를 글에 담아 교환한다. 이러한 마주침 혹은 충돌은 과학과 삶을 오가는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이 책은 ‘과학’산문일까, 과학‘산문’일까? 과학과 산문 사이 그 어디쯤에서, 우리 곁의 과학자들은 때로 다정하고 주로 단단한 글을 주고받으며 심상한 일상과 심상찮은 통찰을 나눈다. 이 책은 과학자들의 교환 편지인 동시에, 가끔은 물리학자·천문학자라는 명명 바깥으로 살짝씩 쏟아지는 ‘인간’ 김상욱과 심채경의 세상 탐구 일지이며, 그들과 우리가 함께 겪은 어떤 계절의 기록이기도 하다.

평범한 사람들에게 과학은 잘 알지 못해 쉽게 오해했던 학문일 것이다. 알고는 싶지만 난해하고, 어려운 공식과 용어를 보면 지레 겁을 먹곤 했을 것이다. 하지만 침착하게 고개를 들어 세상을 보면, 전기부터 AI까지 일상을 구성하는 많은 것이 과학에서 시작되었다. 이제 과학 쪽으로 한 걸음 다가가 손을 내밀어볼 때다.

『과학산문』에 과학 이론은 없다. 그러나 이 책은 과학적인 태도로 가득 차 있다. 저자들은 말한다. “과학산문이라고 해서 꼭 과학을 설명할 필요는 없”다. 과학 지식을 쏟아붓는 것보다, 지극히 평범한 풍경 속에서 발견하고 성찰해낸 과학적 태도야말로 과학의 진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구별 이웃 김상욱·심채경이 안내하는 우리 곁, 태도로서의 과학을 만나보길 권한다.

Table of Contents

프롤로그
상욱의 무물
1부| 과학 안에서 미끄러지기
과학자가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 × 상욱
빗면 위 물체의 가속운동 × 채경
낮은 차원의 이야기 × 상욱
회전하는 물체의 각운동량 × 채경
총, 빛, 사람 × 상욱
방향지시등 × 채경
창의성은 노가다에서 나온다 × 상욱
뭔가 단단히 잘못되었다면 활짝 웃어볼까요 × 채경
인쇄술의 신이시여, 감사합니다 × 상욱
파본을 부르는 손 × 채경
흑백 필경사―문체 계급 전쟁 × 상욱
빛과 고요와 빨래방 × 채경
무엇이든 물어보는 것에 대해 물어보다 × 상욱
제자리걸음도 걸음은 걸음이다 × 채경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 상욱
지구인에게 남은 선물 × 채경
2부| 답장에 답장 보내기
폴리 베르제르 술집의 거울 × 상욱
지울 수 있는 흔적만 × 채경
미신, 습관, 흔적 × 상욱
어느 쪽이든 옳은 선택입니다 × 채경
유물론자가 무덤을 방문하는 이유에 대하여 × 상욱
기억의 공간 × 채경
겸재 정선 산수화의 비밀 × 상욱
피아노 물방울 × 채경
깊다深, 캐다採, 거울鏡 × 상욱
더그와 알렉스, 그리고 바다 세상 × 채경
따스한 햇살 아래 행복한 시시포스 × 상욱
언젠가는 × 채경
채경의 무물
에필로그